스피루리나는 다세포 녹조류로 분류되는 지구 최초의 광합성 세균이다.
주로 아프리카, 멕시코의 알칼리 호수에서 자생한다.
스피루리나는 홍학이 주로 먹는 재료로도 잘 알려져 있다.
수요가 많아지다보니 대규모로 재배까지 하게 되었다.
1980년 UN 식량농업기구에서는 미래식품으로 지정되기도 했으며 NASA에서는 우주인 식량으로 개발하고 있기도 하다.
◈ 스피루리나의 영양성분은?
스피루리나의 핵심 영양성분은 해독, 세포 재생, 면역 등에 도움이 되는 엽록소이다.
뿐만 아니라 스피루리나의 풍부한 엽산, 비타민 12가 엽록소와 함께 적혈구 생성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빈혈에 많은 도움이 된다.
스피루리나에는 클로렐라와 마찬가지로 미네랄과 단백질이 매우 풍부하다. 스피루리나의 단백질 조성비율은 무려 60%나 된다.
◈ 스피루리나의 인정받은 3가지 기능성은?
피부건강, 항산화,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이 된다.
스피루리나는 세포벽이 없어 클로렐라보다 소화율이 아주 높다.
기초 영양제로 스피루리나는 아주 좋은 영양제라고 할 수 있다.
◈ 스피루리나 제품 고르는 TIP
우리나라는 엽록소 함량을 지표성분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엽록소의 권장하는 하루 섭취량을 먼저 체크해봐야 한다.
스피루리나는 기능성분(또는 지표성분)의 함량을 총엽록소를 5mg/g 이상 함유하고 있어야 건강 기능식품으로 인정된다.
제품마다 엽록소 하루 섭취량이 다 다르기 때문에 이런 부분을 체크해서 구매하는 데 참고하는 것이 좋다.
해외 제품은 법적 규제가 없기 때문에 엽록소 함량을 표기하지 않은 제품도 있다. 엽록소 함량을 확인할 수 있는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더 좋다.
특히 국내산은 중금속, 페오포르바이드 물질, 대장균군에 대한 규제도 마련되어 있어 안심할 수 있다.
<규제 내용>
1. 중금속
- 납(mg/kg) : 3.0 이하
- 카드뮴(mg/kg) : 1.0 이하
-총수은(mg/kg) : 0.5 이하
2. 총 페오포르바이드(mg/kg) : 1,000 이하
3. 대장균군 : 음성
※ 페오포르바이드(pheophorbid)란?
엽록소가 분해될 때 나오는 물질인 페오포르바이드(pheophorbid)는 광과민증을 유발한다. 이 물질 때문에 한때는 FDA에서 클로렐라를 판매 금지시킨 적도 있었다.
스피루리나의 하루 권장 섭취량은 3g 이내
'■ 건강은 과학입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류수 마시면 설사한다? 증류수가 진짜 위험한 이유는? (0) | 2024.05.13 |
---|---|
사람 뼈를 대신할 수 있는 인공 뼈 분말 합성 신 기술 개발(레이저 수열 합성공정) (0) | 2022.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