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초화학/▷ 기체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용한 분자량 알아내기

docall 2021. 7. 12. 21:32
반응형

실험실에서 실제 실험으로 채취한 어떤 기체의 분자량을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으로 알아내 보자.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 PV = nRT

 

기체에서는 원자가 아닌 모두 분자를 다룬다. , 여기에서 n(몰수)은 분자수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n을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 n에 대입해본다.

 

여기에서 분자량 M으로 다시 정리해보면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에서 기체 상수 R 0.082 사용하려면 P, V, T 단위를 기체 상수 단위와 맞춰야 한다.

, 압력은 atm, 부피는 L, 온도는 절대온도 T를 사용해야만 한다.


부탄가스 분자량 알아내기

 

 

▽기체 모으는 방법

더보기

<기체 모으는 방법>

 

1. 수상 치환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눈금 메스실린더에 물을 가득 채워 기포가 안 들어가게 뒤집어서 물속에 담근다.

그림과 같이 기체가 나오는 관을 넣어 기포를 채집한다. 물에 녹는 기체에는 사용할 수 없다.

 

포집되는 기체의 부피를 실린더 눈금으로 바로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2. 상방치환과 하방치환

 

 

1. 절대온도 T

원래 부탄가스의 온도를 넣어야 하는데 그럴 수 없기 때문에 대신 물의 온도를 넣는다.

부탄과 물이 접촉하고 있어서 열적 평형이 된다, 물과 부탄의 온도가 같다고 본다.

 

2. 부피 V

메스실린더의 눈금을 읽으면 된다. 물의 수면 높이와 실린더 안의 물의 높이를 일치시켰을 때만 가능하다.

 

3. 질량 W

W1-W2를 사용. 부탄가스 통의 처음 질량에서 가스를 뺀 다음 질량을 빼주면 메스실린더 안의 가스 양이 나온다.

 

4. 압력 P

메스실린더 안에는 부탄가스 압력과 물에서 증발한 수증기의 압력이 있다.

, 메스실린더 안은 혼합기체 상태이다. 메스실린더 안의 부탄 압력 = 대기압 – 수증기 압력

여기서 수증기 압력은 물의 온도에 대한 수증기압의 표를 보면 알 수 있다.

 


사염화탄소 분자량 알아내기

사염화탄소는 상온에서 액체상태인데 기체로 변환해서 사용한다.

 

<실험과정>

 

둥근 플라스크 용기에 호일을 씌우고 입구를 단단히 막은 후 입구에 작은 바늘로 구멍을 낸다.

 

사염화탄소는 상온에서 액체 상태이다. 사염화탄소의 끓는점이 76.72 °C이다.

 

사염화탄소 액체를 플라스크에 넣고 중탕으로 기체화 한다.

 

기체가 되면 플라스크 안의 압력이 대기압과 같아질 때까지 사염화탄소 기체가 일부 빠져나간다.

 

대기압과 일치했을 때 플라스크를 꺼내어 냉각시켜 기체가 된 사염화탄소를 다시 액화시킨다.

 

그런 다음 플라스크 용기 무게를 측정한다.

 

1. 절대온도 T

원래 사염화탄소의 온도를 넣어야 하는데 그럴 수 없기 때문에 대신 물의 온도를 넣는다.

물과 사염화탄소가 접촉하고 있다고 보고 열적 평형으로 본다. , 물과 사염화탄소의 온도가 같다고 본다.

 

2. 부피 V

둥근 플라스크의 부피이다. 플라스크 안에 물을 가득 채운 다음 메스실린더에 넣어 부피를 측정한다.

 

3. 질량 W

기체상태인 플라스크를 꺼내서 냉각시킨다. 그러면 사염화탄소가 다시 액체상태가 된다.

처음 액체상태에서 기체로 만들 때 내부 압력이 더 높으면 작은 구멍 사이로 빠져나가고 대기압과 같은 압력이 되면 더 이상 나가지 않는다.

그런 다음 냉각시켰기 때문에 기체 상태의 양이 그대로 액체가 된 것이다. 냉각시킨 용기 전체 질량을 W2라고 했을 때 사염화탄소의 질량은 W2-W1 된다.

 

* 기체 상태의 둥근 플라스크 용기 무게를 측정하여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

빈용기 질량:W1 = 빈용기 질량 + 내부 공기질량

냉각시킨 플라스크 질량: W2 = 빈용기 질량 + 내부 공기질량 + 액체 사염화탄소 질량

기체 상태의 플라스크 용기 안에는 공기질량이 없기 때문에 빈용기 질량을 빼면 내부 공기질량만큼 오차가 생긴다. 그래서 사용할 수 없다.

 

4. 압력 P

압력은 대기압을 사용한다. (구멍이 뚫려 있기 때문이다.)

반응형